02-상수와 리터럴
1. 상수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며, 단지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됩니다.
final int MAX_SPEED = 10;
일단 상수에 값이 저장된 후에는 상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final int MAX_VALUE;
정수형 상수 MAX_VALUE를 선언
MAX_VALUE = 100;
상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
MAX_VALUE = 200;
에러. 상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음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_'로 구분해줍니다.
2. 리터럴(literal)
12, 123, 3.14, 'A'와 같은 값들이 '상수'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 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했기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상수 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리터럴은 단지 '상수'의 다른 이름일 뿐입니다.
변수(variant)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상수(constant) -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리터럴(literal)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example
int year = 2014;
year : 변수
2014 : 리터럴
final int MAX_VALUE = 100;
MAX_VALUE : 상수
100 : 리터럴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0) | 2023.04.27 |
---|---|
[Java] 짝수, 홀수 판단 (0) | 2023.04.27 |
01-변수(3) (0) | 2023.04.20 |
01-변수(2) (0) | 2023.01.31 |
01-변수(1) (0) | 2023.01.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2023.04.27 -
[Java] 짝수, 홀수 판단
[Java] 짝수, 홀수 판단
2023.04.27 -
01-변수(3)
01-변수(3)
2023.04.20 -
01-변수(2)
01-변수(2)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