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codesche's blog

Back-End

  • codesche's blog
변수 명명 규칙

변수 명명 규칙

2024.06.21
변수 명명 규칙자바에서 변수의 이름을 짓는데는 규칙과 관례가 있다.규칙은 필수이다.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관례는 필수는 아니지만 전세계 개발자가 해당 관례를 따르기 때문에 사실상 규칙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규칙**1.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예: `1num` , `1st` ) => 그러나 숫자를 이름에 포함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 `myVar1` , `num1` ).2. 이름에는 공백이 들어갈 수 없다.3. 자바의 예약어를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 `int` , `class` , `public` )4. 변수 이름에는 영문자(`a-z` , `A-Z` ), 숫자(`0-9` ), 달러 기호(`$` ) 또는 밑줄(`_` )만 사용할 수 있다. 관례1. ..
스프링 라이브러리

스프링 라이브러리

2024.06.20
스프링부트 라이브러리 spring-booter-starter-webspring-boot-starter-tomcat: 톰캣 (웹서버)spring-webmvc(스프링 웹 MVC)spring-boot-starter-thymeleaf: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View)spring-boot-starter(공통): 스프링 부트 + 스프링 코어 + 로깅spring-bootspring-corespring-boot-starter-logginlogback,slf4j테스트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testjunit: 테스트 프레임워크mockito: 목 라이브러리assertj: 테스트 코드를 좀 더 편하게 작성하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spring-test: 스프링 통합 테스트 지원
[Java] 1에서 10까지 합계 계산하기(With 짝수합, 홀수합)

[Java] 1에서 10까지 합계 계산하기(With 짝수합, 홀수합)

2023.04.27
1에서 10까지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을 계산하는 예제를 정리해봤습니다. for문 while문을 사용해 구현하였습니다. for문 public class SumF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for (int i = 1; i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2023.04.27
이번 시간에는 배열 값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2, 3, 4, 5}; System.out.println(arr); } } [결과] [I@2d209079 그냥 배열 변수(arr)를 출력하면 알 수 없는 값이 출력됩니다. 아마 독자분들이 위 코드를 돌릴 경우 저와는 또 다른 값이 출력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여기서 출력된 값은 arr이라는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1, 2, 3, 4, 5] 값이 들어있는 메모리의 주소값이기 때문입니다. arr를 그대로 출력하면 위와 같이 메모리의 주소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배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반복문을 사용하거나, 배열을..
[Java] 짝수, 홀수 판단

[Java] 짝수, 홀수 판단

2023.04.27
짝수와 홀수 구분 Java에서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판단하는 코드입니다. public class JudgeEvenOd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eckEvenOdd(1); // 홀수 checkEvenOdd(2); // 짝수 checkEvenOdd(3); // 홀수 } public static void checkEvenOdd(int num) { if (num % 2 == 1) { System.out.println("홀수"); } else { System.out.println("짝수"); } } } checkEvenOdd() 메서드는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판단할 숫자를 파라미터로 입력 받습니다. if (num % 2 == 1) '%'는 나머지를 계..
02-상수와 리터럴

02-상수와 리터럴

2023.04.20
1. 상수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며, 단지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됩니다. final int MAX_SPEED = 10; 일단 상수에 값이 저장된 후에는 상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final int MAX_VALUE; 정수형 상수 MAX_VALUE를 선언 MAX_VALUE = 100; 상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 MAX_VALUE = 200; 에러. 상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음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관례이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_'로 구분해줍니다. 2..
01-변수(3)

01-변수(3)

2023.04.20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Java 관련 포스팅이 상당히 지연됐네요ㅠㅠ 프로젝트 진행하는데 집중한 나머지 블로그 포스팅을 완전히 잊고 있었습니다. 오늘부터 라도 다시 시작하는 마음에서 변수 관련 포스팅 다시 적어봤습니다. 많은 내용은 아니지만 초반에 Java 공부할 때 참고하면 좋을 듯 합니다^^ 1. 변수의 타입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저장할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야 합니다. 변수의 타입은 참조형과 8개의 기본형이 있는데, 일단 자주 쓰이는 타입을 먼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int, long : 정수(Integer)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입니다 (20억이 넘을 때는 long을 사용합니다). float, double : 실수(floating-point number)를 저장하기 ..
01-변수(2)

01-변수(2)

2023.01.31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어제와 동일하게 변수를 주제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단 간단한 예제를 시작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 해당 코드를 컴파일하게 되었을 때 최종적인 x의 값은 얼마가 될까요? 지난 시간에 변수 파트에서 드린 설명을 다시 요약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처음에 x라는 변수에 5가 저장이 되고 그 이후에 5라는 변수를 출력합니다. 그 다음에 x에 10이라는 변수가 다시 저장이 되면서 기존에 있던 5는 사라집니다. 최종적으로 x는 10이 되고 결과는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부분이어서 진행하시다 보면 프로그래밍 별거 아닌데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접근하고자 하는 마인드가 계속 이어질 수..
01-변수(1)

01-변수(1)

2023.01.30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오늘은 변수를 주제로 글을 적어볼까 합니다. Java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먼저 간단한 실습예제를 준비해봤습니다. 간단한 실습 이후에 변수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방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Java IDE는 인텔리제이를 사용할 예정이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 print(), println() ○ 출력결과 System.out.print()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습니다. System.out.println()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합니다. 사실 자바를 공부하기 전에 다른 언어를 접해보셨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결과를 출력해주는 함수로 println과 print가 있는데 사..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2023.01.26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오늘부터 한 달간 자바 프로그래밍을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자바를 공부해왔지만 여전히 기초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 다시 한 번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쓰기로 결심했습니다. 자바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로서 어떻게 보면 거의 모든 곳에서 자바를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하지만 자바는 쉬우면서도 생각보다 쉽지 않은 언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스프링을 할 때 많이 느끼는데 클래스와 상속, 오버라이딩, 제네릭, 배열 등의 개념이 익숙하지 않아 꽤나 애를 먹었던 적이 많았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저뿐만 아니라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도 개념정리가 잘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일단 참고자료는 자바의 정석이 적당할 것 같아 자바의 정석을 참..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2022.12.30
○ 클래스 구성 ○ 클래스(class) 객체의 공통된 특징을 기술한 것, 객체를 저으이하는 틀 또는 설계도 클래스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field)와 객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메소드(method)로 구성되는데 자바에서는 클래스를 가지고 여러 객체를 생성하여 프로그래밍을 한다. 필드(field) : 클래스에 포함된 변수(variable) 메소드(method) :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 인스턴스(instance) 자바에서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해당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선언해야 하는데 이렇게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선언하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라고 부른다. 여기서 선언된 해당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인스턴스(instance)라고 한다. 즉 인스턴스란 메모리에 할당된 객체를 뜻한다..
  • 최신
    • 1
  • 다음

정보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 codesche's blog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76)
    • Algorithm (15)
      • 백준 (3)
      • 프로그래머스 (10)
      • inflearn 알고리즘(Java) (2)
    • 블로그소개 (1)
    • Back-End (11)
      • Java (10)
      • SpringBoot (1)
    • Database (2)
      • MySQL (0)
      • MariaDB (1)
      • Redis (0)
      • 개념, 이론 (1)
    • Front-End (0)
      • html, css, javascript (0)
    • Git (2)
    • 알고리즘 지식 (11)
      • 자료구조 (11)
    • Study Cafe (21)
      • 기술면접 (6)
      • Clean Code 스터디 (14)
      • CS 스터디 (0)
      • 개발용어 (1)
    • 주간 에세이 (10)
    • DevOps (3)
      • 배포, Front&Back 연동 (1)
      • AWS (0)
      • Docker (1)
      • 이론 (1)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자료구조
  • 개발자 현실
  • git commit
  • java
  • 자바 변수
  • 자바 기초
  • 클린코드
  • 주간에세이

나의 외부 링크

정보

The Code의 codesche's blog

codesche's blog

The Code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The Code.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