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codesche's blog

01-변수(2)

  • 2023.01.31 09:32
  • Back-End/Java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어제와 동일하게 변수를 주제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단 간단한 예제를 시작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

 

해당 코드를 컴파일하게 되었을 때 최종적인 x의 값은 얼마가 될까요? 지난 시간에 변수 파트에서 드린 설명을 다시 요약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처음에 x라는 변수에 5가 저장이 되고 그 이후에 5라는 변수를 출력합니다. 그 다음에 x에 10이라는 변수가 다시 저장이 되면서 기존에 있던 5는 사라집니다. 최종적으로 x는 10이 되고 결과는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부분이어서 진행하시다 보면 프로그래밍 별거 아닌데 하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접근하고자 하는 마인드가 계속 이어질 수만 있다면 아무리 어렵고 깊은 내용이라고 한들 조금이라도 이해해볼려고 할텐데,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려워지는 게 프로그래밍입니다.

그래서 처음에 잘 이해함과 동시에 많은 실습을 경험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코드 수가 많아지고 이해해야 할 개념과 지식들이 많다 보면 어느 순간 방황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기초마저 모른다면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지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어쨌든 말이 좀 길어졌는데... 다시 변수 얘기로 돌아와서 이번에는 변수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예시를 보면서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System.out.println(5+3); 			// 5 + 3의 결과인 8이 출력
System.out.println(5-3);			// 5 - 3의 결과인 2가 출력
System.out.println(5*3);			// 5 * 3의 결과인 15가 출력
System.out.println(5/3);			// 5 / 3의 결과인 1이 출력

 

변수를 지정해주지 않는 경우 5와 3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연산을 저런식으로 일일이 코딩해줘야 해당 결과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봤을 때 상당히 비효율적입니다. 만약에 연산해줘야 할 숫자들이 5와 3이 아닌 다른 숫자라면 또 변경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니 개발자 입장에서는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히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꼭 변수를 선언해서 개발의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예제를 통해 관련된 내용 확인해보겠습니다.

결과

보시는 바와 같이 이번에는 연산할 때 숫자를 넣지 않고 변수를 지정해줘서 변수끼리 연산할 수 있도록 코드를 구성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x, y 값을 일일이 변경할 필요없이 내가 하고 싶은 연산을 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실상 변수가 없으면 손코딩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데 변수를 제대로 활용함으로써 코드의 효율을 훨씬 더 높일 수 있기에 이런 간단한 예제만으로도 왜 변수가 필요한지를 독자님들이 분명하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거라고 봅니다.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이정도에서 마무리하고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앞서 말씀드렸지만 너무 많은 내용을 초반에 다루다 보면 나중에 가서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개념과 흥미를 동시에 잡기란 쉽지 않은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려면 제 생각에는 프로그래밍 자체를 너무 무거운 것으로 보지 않는 인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진행하려고 합니다. 다음 포스팅 내용은 변수의 타입과 상수의 리터럴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상수와 리터럴  (0) 2023.04.20
01-변수(3)  (0) 2023.04.20
01-변수(1)  (0) 2023.01.30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0) 2023.01.26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0) 2022.12.30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02-상수와 리터럴

    02-상수와 리터럴

    2023.04.20
  • 01-변수(3)

    01-변수(3)

    2023.04.20
  • 01-변수(1)

    01-변수(1)

    2023.01.30
  •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2023.01.26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 codesche's blog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76)
    • Algorithm (15)
      • 백준 (3)
      • 프로그래머스 (10)
      • inflearn 알고리즘(Java) (2)
    • 블로그소개 (1)
    • Back-End (11)
      • Java (10)
      • SpringBoot (1)
    • Database (2)
      • MySQL (0)
      • MariaDB (1)
      • Redis (0)
      • 개념, 이론 (1)
    • Front-End (0)
      • html, css, javascript (0)
    • Git (2)
    • 알고리즘 지식 (11)
      • 자료구조 (11)
    • Study Cafe (21)
      • 기술면접 (6)
      • Clean Code 스터디 (14)
      • CS 스터디 (0)
      • 개발용어 (1)
    • 주간 에세이 (10)
    • DevOps (3)
      • 배포, Front&Back 연동 (1)
      • AWS (0)
      • Docker (1)
      • 이론 (1)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자바 기초
  • 주간에세이
  • java
  • 자료구조
  • git commit
  • 개발자 현실
  • 자바 변수
  • 클린코드

나의 외부 링크

정보

The Code의 codesche's blog

codesche's blog

The Code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The Code.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