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변수(1)
안녕하세요 codesche입니다. 오늘은 변수를 주제로 글을 적어볼까 합니다. Java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먼저 간단한 실습예제를 준비해봤습니다. 간단한 실습 이후에 변수에 대해서 설명드리는 방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Java IDE는 인텔리제이를 사용할 예정이니 참고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 print(), println()
○ 출력결과
System.out.print()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습니다.
System.out.println()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합니다.
사실 자바를 공부하기 전에 다른 언어를 접해보셨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는 부분입니다. 결과를 출력해주는 함수로 println과 print가 있는데 사실 이 두 함수는 자바를 공부할 때 많이 사용하지만 나중에 자바를 더 깊게 다루는 경우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초반에는 print와 println을 사용하면서 코드의 흐름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덧셈 뺄셈 계산하기
사칙연산이 포함된 식의 결과를 출력하려면 앞서 배운 print와 println 함수에 식을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ex) System.out.println(5 + 3)
그럼 예제를 통해 확인해겠습니다.
○ 출력결과
보시는 것과 같이 연산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근데 5 / 3은 왜 '1'이 나오는 것일까요? 5를 3으로 나누면 몫은 1, 나머지는 2가 나옵니다. 그래서 1이 나오는 것인데 이 부분 관련하여 추후에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정수 나누기 정수는 정수라는 사실만 기억해주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주시면 됩니다.
3. 변수의 선언과 저장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저장해 둘 공간이 필요한데, 그 공간을 변수(varaible)라고 합니다.
저장공간, 즉 변수가 필요한 경우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타입 변수이름; //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변수의 타입은 변수에 저장할 값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달라지며, 변수의 이름은 저장공간이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integer)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선언해줍니다.
int x; // 정수(integer)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 x 선언
이 문장이 수행되면, x라는 이름의 변수(저장공간)가 생기는데, 그림으로 표현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x = 5; 변수 x에 5를 저장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x = 3; // 변수 x에 3을 저장, 기존의 값은 지워진다
수학에서는 '='가 같음을 의미하지만, 자바에서는 오른쪽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의미의 대입 연산자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변수는 오직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기에, 이미 값이 저장된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지워지고 새로 저장된 값만 남습니다. 변수의 선언과 대입을 한 줄로 간단히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int x; // 변수의 선언
x = 5; // 변수에 대입
=> int x = 5;
일단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초반에 너무 많은 내용을 적으면 부담스러울 수 있을 것 같아 조금씩 나눠서 적어볼까 합니다. 다음 시간에도 변수에 대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상수와 리터럴 (0) | 2023.04.20 |
---|---|
01-변수(3) (0) | 2023.04.20 |
01-변수(2) (0) | 2023.01.31 |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0) | 2023.01.26 |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0) | 2022.12.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01-변수(3)
01-변수(3)
2023.04.20 -
01-변수(2)
01-변수(2)
2023.01.31 -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00. 자바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2023.01.26 -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Java 기초]자바 코드의 기본 구조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