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codesche's blog

[Java] 배열 값 출력하는 2가지 방법(반복문, Arrays.toString())

  • 2023.04.27 18:26
  • Back-End/Java

이번 시간에는 배열 값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2, 3, 4, 5};

        System.out.println(arr);
    }
}

[결과]

[I@2d209079

그냥 배열 변수(arr)를 출력하면 알 수 없는 값이 출력됩니다. 아마 독자분들이 위 코드를 돌릴 경우 저와는 또 다른 값이 출력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여기서 출력된 값은 arr이라는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1, 2, 3, 4, 5] 값이 들어있는 메모리의 주소값이기 때문입니다. arr를 그대로 출력하면 위와 같이 메모리의 주소값이 출력되기 때문에, 배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반복문을 사용하거나, 배열을 출력할 수 있는 특별한 메소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첫 번째 방법 : 반복문 사용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2, 3, 4, 5};

        for (int idx = 0; idx < arr.length; idx++) {
            System.out.println(arr[idx]);
        }
    }
}

[결과]

1
2
3
4
5

위 코드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배열의 각 index값을 읽어서, 값을 출력한 사례입니다.

for문 외에 for-each를 활용한 방법도 있습니다.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2, 3, 4, 5};

        for (int array : arr) {
            System.out.println(array);
        }
    }
}

이 경우에도 결과는 위 코드와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두 번째 방법 : java.util.Arrays의 toString() 메서드 사용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 2, 3, 4, 5};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

[결과]
[1, 2, 3, 4, 5]

Arrays.toString(arr);

위 코드에서는 배열의 값을 출력하기 위해 java.util.Arrays.toString() 메서드를 사용하였습니다.

java.util.Arrays.toString() 메서드는 파라미터를 배열로 입력받아서, 배열에 정의된 값들을 문자열 형태로 만들어서

리턴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명명 규칙  (0) 2024.06.21
[Java] 1에서 10까지 합계 계산하기(With 짝수합, 홀수합)  (0) 2023.04.27
[Java] 짝수, 홀수 판단  (0) 2023.04.27
02-상수와 리터럴  (0) 2023.04.20
01-변수(3)  (0) 2023.04.20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변수 명명 규칙

    변수 명명 규칙

    2024.06.21
  • [Java] 1에서 10까지 합계 계산하기(With 짝수합, 홀수합)

    [Java] 1에서 10까지 합계 계산하기(With 짝수합, 홀수합)

    2023.04.27
  • [Java] 짝수, 홀수 판단

    [Java] 짝수, 홀수 판단

    2023.04.27
  • 02-상수와 리터럴

    02-상수와 리터럴

    2023.04.20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 codesche's blog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76)
    • Algorithm (15)
      • 백준 (3)
      • 프로그래머스 (10)
      • inflearn 알고리즘(Java) (2)
    • 블로그소개 (1)
    • Back-End (11)
      • Java (10)
      • SpringBoot (1)
    • Database (2)
      • MySQL (0)
      • MariaDB (1)
      • Redis (0)
      • 개념, 이론 (1)
    • Front-End (0)
      • html, css, javascript (0)
    • Git (2)
    • 알고리즘 지식 (11)
      • 자료구조 (11)
    • Study Cafe (21)
      • 기술면접 (6)
      • Clean Code 스터디 (14)
      • CS 스터디 (0)
      • 개발용어 (1)
    • 주간 에세이 (10)
    • DevOps (3)
      • 배포, Front&Back 연동 (1)
      • AWS (0)
      • Docker (1)
      • 이론 (1)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자료구조
  • 자바 변수
  • java
  • 클린코드
  • git commit
  • 개발자 현실
  • 주간에세이
  • 자바 기초

나의 외부 링크

정보

The Code의 codesche's blog

codesche's blog

The Code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The Code.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