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codesche's blog

좋은 커밋 메세지 작성하는 방법

  • 2022.12.30 00:50
  • Git

프로젝트 협업을 할 때 커밋 메시지 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전에 다녔던 회사에서 커밋 메시지에 대한 규칙이 따로 없었기에 이번 기회에 커밋 메시지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협업을 하거나 혹은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미리 좋은 커밋 메시지 습관을 들여놓는 차원에서 좋은 커밋 메시지 규칙들을 정리해봤습니다.

 

 

○ Commit 메시지 구조

 

 

type(타입) : title(제목)

 

body(본문, 생략 가능)

 

Resolves : #issue, ... (해결한 이슈, 생략 가능)

 

See also : #issue, ... (참고 이슈, 생략 가능)

 

 

○ Commit 메시지 규칙

 

1. Commit 타입 지정

Type 키워드 사용 시점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수정
style 코드 스타일 변경 (코드 포매팅, 세미콜론 누락 등)
기능 수정이 없는 경우
design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CSS 등)
test 테스트 코드, 리팩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build 빌드 파일 수정
ci CI 설정 파일 수정
perf 성능 개선
chore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gitignore 수정 등)
rename 파일 혹은 폴더명을 수정만 한 경우
remove 파일을 삭제만 한 경우

대부분 많이 사용하는 것 : feat, fix

 style, design처럼 로직의 변화가 없을시 커밋 메시지에 명시해주기만 해도 충분합니다.

타입 뒤에 변경된 함수나 메소드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ex) fix(tmethod): ...

 

 

2. 제목과 본문은 빈 행으로 분리

 

 

3. 제목 행은 50자로 제한

 

 

4. 제목 행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시작 (영문)

read the docs (x)

Read the docs (o)

 

 

5. 제목 행 끝에 마침표 X

Read the docs. (x)

Read the docs

 

 

6. 제목은 명령형으로 작성

Docs are ready x

Read the docs

 

 

7. 본문에는 추가 or 변경 내용과 이유를 적는다

- 무엇을 추가 또는 변경했는지와 그 이유를 적는다

- '어떻게(how)'는 되도록 지양한다

 

*정리 후 느낀 점

주변 개발자들이 커밋메시지를 어떻게 적나 구글에서 찾아본 결과 영어로 적는 사람도 있었고 한국어로 적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은 prefix를 영어로 적고 그 뒤에 한글로 쓰는 방식이었다.

만약에 영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는 개발자와 협업해야 한다면 영어로 적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한국어로 적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참고 :

https://richone.tistory.com/26

https://jane-aeiou.tistory.com/93

https://xtring-dev.tistory.com/entry/Git-%EA%B7%9C%EC%B9%99%EC%A0%81%EC%9D%B8-Commit-%EB%A9%94%EC%84%B8%EC%A7%80%EB%A1%9C-%EA%B0%9C%EB%B0%9C%ED%8C%80-%ED%98%91%EC%97%85%ED%95%98%EA%B8%B0-%F0%9F%91%BE

https://beomseok95.tistory.com/328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ash에서 add, commit, push 기능 활용해보기  (0) 2022.12.07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Git Bash에서 add, commit, push 기능 활용해보기

    Git Bash에서 add, commit, push 기능 활용해보기

    2022.12.07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codesche's blog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codesche's blog

  • codesche's blog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76)
    • Algorithm (15)
      • 백준 (3)
      • 프로그래머스 (10)
      • inflearn 알고리즘(Java) (2)
    • 블로그소개 (1)
    • Back-End (11)
      • Java (10)
      • SpringBoot (1)
    • Database (2)
      • MySQL (0)
      • MariaDB (1)
      • Redis (0)
      • 개념, 이론 (1)
    • Front-End (0)
      • html, css, javascript (0)
    • Git (2)
    • 알고리즘 지식 (11)
      • 자료구조 (11)
    • Study Cafe (21)
      • 기술면접 (6)
      • Clean Code 스터디 (14)
      • CS 스터디 (0)
      • 개발용어 (1)
    • 주간 에세이 (10)
    • DevOps (3)
      • 배포, Front&Back 연동 (1)
      • AWS (0)
      • Docker (1)
      • 이론 (1)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개발자 현실
  • 자료구조
  • java
  • 클린코드
  • git commit
  • 자바 기초
  • 자바 변수
  • 주간에세이

나의 외부 링크

정보

The Code의 codesche's blog

codesche's blog

The Code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The Code.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